자궁내막암 증상 원인 치료

자궁내막암 증상 원인 치료

 

자궁내막암 증상 원인 치료

자궁은 여성의 골반 안쪽에 위치한 근육 조직으로 임신 유지 및 출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자궁벽은 장막, 근육층, 내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자궁의 가장 안쪽 면을 자궁내막이라고 합니다.

자궁내막은 월경주기에 따라 한달 정도 주기로 두꺼워졌다가 얇아지기를 반복하는데요. 주기적으로 생리혈이 되어 떨어져 나오는 조직입니다.

자궁내막에 비정상적인 암세포가 생기는 질환이 바로 자궁내막암인데요. 예전에는 서양 국가들에서 발병비율이 높은 편이었지만,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발생 비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암은 주로 50대 후반에서 60대에 많이 발생합니다. 대체로 55세 전후로 나타나며 드물지만 40대 이전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자궁내막암은 크게 1형과 2형으로 나뉘어집니다. 1형은 에스트로겐 의존성 자궁내막암인데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자궁내막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발생합니다.

비교적 젊은 나이대 환자가 많은 편이고 주로 폐경기 전후에 자궁내막증식증으로 시작해 암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형은 에스트로겐 비의존성으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무관하게 발생합니다. 주로 폐경 후 여성에게서 나타나며 분화도가 좋지 않다보니 예후도 그리 좋지 않은편입니다.

자궁내막암 원인 (위험요인)

자궁내막암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들에는 에스트로겐 호르몬에 많이 노출되는 것 (이른 초경과 늦은 폐경 등), 에스트로겐 호르몬제 투여, 유방암 기왕력 등이 있는데요.

먼저 자궁내막암은 에스트로겐 호르몬과 관련이 깊습니다. 에스트로겐에 많이 노출되면 자궁 내막 세포의 증식이 촉진되며, 이때 암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세포가 생길 확률이 높아집니다.

초경이 빠르고 폐경이 늦으면 그만큼 여성호르몬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져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또한 에스트로겐 단독 호르몬제를 장기간 사용하거나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있는 경우도 영향을 미칩니다.

과체중인 여성에게서 발생률이 높은데요. 이는 말초 지방조직에서 에스트로겐 호르몬 유사물질 생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도 약 3배정도 위험도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자궁내막암 증상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부정출혈입니다. 환자의 약 90%에서 발생하는데요. 폐경 전 여성이라면 월경과다, 지속되는 출혈 등으로 나타납니다. 특히 폐경기 출혈은 주의가 필요한데요.

폐경기 질출혈이 나타날 수 있는 원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출혈이 나타났다고 모두 암 때문인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일단 출혈이 나타났다면 일단은 자궁내막암 여부를 한번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비정상적인 질분비물이 관찰되는데요. 분비물이 증가하고 분비물에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합니다. 골반 부위에 압박감이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통증은 이미 암이 많이 진행된 후에야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암이 주변 장기로 전이되면 혈뇨, 빈뇨, 변비, 직장출혈 및 하복부 통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전신증상으로 체중감소, 쇠약감 등이 발생하며 출혈이 잦아지면서 빈혈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치료

자궁내막암은 조기에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기 자궁내막암은 5년생존율이 90%이상으로 예후가 무척 좋은 편에 속합니다.

현재 환자 상태에 따라 치료법은 달라질 수 있지만 기본적인 치료방법은 수술적 제거입니다. 수술시에는 자궁, 난소, 난관 등을 제거하게 됩니다. 현재 상태에 따라 주변 림프절 절제술을 함께 시행하기도 합니다. 수술치료와 함께 재발을 예방하고 전이된 것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요법, 항암치료 등을 실시하기도 하는데요.

자궁내막암은 조기에 진단해 치료받으면 완치되는 경우가 많고 초기에는 재발위험도 낮은편입니다. 따라서 월경과다, 부정출혈 및 폐경기 후 출혈 등 의심증상이 있을 때에는 최대한 빨리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생활건강과약이야기 https;//blog.naver.com/sns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