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간염 예방접종, A형간염 증상, 전염

A형간염 예방접종, A형간염 증상, 전염

A형간염 예방접종, A형간염 증상, 전염

A형간염은 제2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A형간염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질환입니다. 감염된 환자의 분변에 오염된 물,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혈액제제, 주사기사용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

혈액을 통해 전염되는 B형 혹은 C형간염과 다르게 경구감염 비율이 높은편에 속합니다. 가족이나 주변사람들에 의해 A형간염 전염되는 경우가 많고, 급식 때문에 군대나 보육시설 등에서 집단감염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예전에는 위생이 낙후된 저개발국가에서 많이 발생되는 질병이었는데, 최근에는 깨끗한 환경에서 자란 20~30대 사이에서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A형간염전염

A형간염바이러스는 간세포 안에서 증식한 뒤 혈액이나 대변을 통해 배출됩니다. 경구감염 비율이 높기 때문에 환자의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해 A형간염전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실온에서 몇개월동안 바이러스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염이 발생하기 쉽고, 특히 집단생활을 하고 급식을 이용하는 경우 집단감염 발생이 나타날 위험성이 커집니다.

A형간염증상 발현 되기 2주 전부터 황달이 나타난 2주 후까지 바이러스 배출이 가장 많습니다. 따라서 이 때 전염력이 가장 높습니다.

사회 개발로 개인위생 상태가 호전됨에 따라 발병률도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어린 시절 A형간염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은 채로 성인이 된 경우가 대부분이라, 한번 감염이 발생하면 집단감염 형태를 보이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반면 환경적으로 낙후된 국가나 아직 위생관념이 철저하지 못한 경우는 성인 대부분 A형간염항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증감염은 덜 발생합니다. 한번 앓고 나면 항체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또 다시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A형간염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씻기가 가장 중요합니다. 식사 전 혹은 화장실에 다녀온 뒤 손을 씻는 등 개인위생에 신경써야 합니다. 환자의 물건은 잘 말려 소독하고, 음식물은 1분 이상 익혀 먹는 것이 좋습니다. 오염된 물로 씻은 샐러드나 과일을 먹을 경우나, 어패류를 생으로 먹는 경우 감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형간염증상

바이러스에 노출된 뒤 바로 증상이 발현되지 않고, 약 4주 정도 잠복기를 거칩니다. A형간염증상은 다른 간염들과 비슷합니다. 감기몸살처럼 전신에 기운이 없고, 입맛도 사라지며 구역질과 구토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또한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나이가 어린 영유아의 경우 이런 A형간염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릴때 감염되면 가볍게 지나가면서 저절로 면역을 획득합니다. 하지만 나이가 많아질수록 증상들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특히 50세 이상의 경우 증상도 심하고 합병증 발생 위험성도 커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첫 1~2주 정도까지는 이런 비특이적인 현상들만 나타나기 때문에 A형간염이라고 생각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후 소변색이나 피부색이 변하면 간염을 의심하게 됩니다.

간에서 담즙 배출이 정체되기 때문에 특징적인 A형간염증상인 황달이 나타나기도 하며, 각막 및 피부가 노랗게 변하거나 소변색이 변하기도 합니다.

B형이나 C형과 달리 A형간염증상은 급성으로 발생하고 대부분 경과가 좋습니다. 하지만 회복까지 1~2개월 정도 소요되며 드물지만 전격성간염으로 진행되는 경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A형간염예방접종

동남아와 같이 발생률이 높은 지역에 여행 계획이 있거나 장기 체류할 예정이라면 미리 A형간염예방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B형간염바이러스 보균자와 같이 이미 만성간염 환자인 경우도 반드시 예방접종을 해야합니다.

A형간염예방접종은 6개월간격으로 총2회 실시합니다. 소아의 경우 생후 12~23개월에 1차 접종 후 6~12개월에 2차접종을 합니다.

성인의 경우 A형간염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무료로 백신접종이 가능합니다. 20~30대 중 예방접종력이 없거나 A형간염을 앓은적이 없는 경우, 발생 유행 국가로 여행을 가능 경우, 군인이나 의료인 혹은 외식업 종사자, 만성 간질환자 등이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출처] 생활건강과약이야기 blog.naver.com/sns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