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혈소판제 플라빅스정 75mg 성분 효능 부작용

항혈소판제 플라빅스정 75mg 성분 효능 부작용

 

항혈소판제 플라빅스정 75mg 성분 효능 부작용

혈소판은 혈액을 구성하는 성분의 하나인데요, 불규칙하고 작은 형태를 띠고 있으며 혈액 응고에 관여합니다. 혈소판은 혈관이 손상되었을 때 혈액 응고 과정에 관여하여 지혈 작용을 나타내어 주는데요. 혈관 내피가 손상되어 콜라겐 섬유가 노출되면 혈소판이 여기에 달라 붙어 응집하고 혈관수축을 유발하는 역할도 합니다.

혈소판은 혈전 생성에도 관여합니다. 혈전이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져 덩어리를 만든 것을 의미하는데요. 먼저 혈소판이 서로 부착하여 덩어리를 만들고, 여기에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이 모여 뭉쳐서 응고하여 덩어리가 만들어 집니다.

혈전 덩어리로 인해 혈관이 막히면 해당 장기로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항혈소판제란 혈액 중 혈소판이 응집하는 것을 막아서 혈전 생성을 예방하는 약물입니다.

항혈소판제 종류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에는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혈전용해제 등이 있습니다. 이 중 항혈소판제는 혈전이 만들어지는 가장 첫번째 단계인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항혈소판제도 작용기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게 나뉘는데요. 아스피린 성분의 COX 억제제, 실로스타졸 성분의 PDE 억제제, 사포그릴레이트 성분의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 등이 있습니다.

이 중 플라빅스정은 ADP 수용체 길항제 계열에 속하는 약물인데요. 혈소판이 뭉치도록 유도하는 ADP라는 물질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소판 응집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ADP 수용체 길항제 계열에 속하는 성분에는 플라빅스정 (클로피도그렐) 이외에도 티클로피딘, 프라수그렐, 티카그렐러 등이 있습니다.

플라빅스정 75mg

성분 : 클로피도그렐

플라빅스정 성분은 클로피도그렐인데요.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는 ADP의 작용을 억제하여 항혈전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입니다.

효능

클로피도그렐은 혈소판이 서로 뭉치고 응집하는 것을 억제합니다. 따라서 혈전생성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죽상동맥경화증 등의 질환에 사용하는데요. 이는 혈관이 좁아져 혈액 흐름이 느려지면 혈전 생성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에 콜레스테롤 등을 비롯한 찌꺼기가 쌓여 혈관 직경이 좁아지고 혈관이 딱딱해 지는 질환입니다.

혈관이 좁아져 혈관을 통과하는 혈액 흐름이 느려지면 혈전이 쉽게 생성되는데요. 혈전이 만들어져 뇌 혹은 심장으로 향하는 혈관을 막아버리면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플라빅스정은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입니다.

혈전증은 누구에게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60세 이상 고령인 경우, 당뇨병이나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경우 위험도가 증가하는데요.

플라빅스정은 고혈압, 당뇨병, 심근경색,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흡연 등 혈관 관련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 혈전증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 사용합니다.

부작용

플라빅스정은 약리기전 상 출혈 부작용이 나타날 수 밖에 없습니다. 혈전 생성 억제를 위해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 작용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코, 위장, 잇몸 등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약물 복용 중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다면 병원을 찾아 상태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술 등이 예정되어 있다면 미리 약물 복용을 의료진에게 알려야 하는데요. 수술 약 5~7일 전부터 약물 복용 중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사용자의 1~10%정도에서 보고된 일반적 부작용에는 통증, 피로, 발열, 현기증, 관절통, 부종 등이 있습니다.

​​[출처] 생활건강과약이야기 https;//blog.naver.com/sns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