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가루 알레르기 증상 대처법 약 치료 (눈 비염)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 대처법 약 치료 (눈 비염)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 대처법 약 치료 (눈 비염)

꽃가루알레르기란 아주 작은 꽃가루들에 노출되어 결막염, 비염, 천식 등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알레르기란 면역세포들이 과민반응하여 발생하는 질환인데요, 보통 체내에 해롭지 않은 물질들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면역세포가 꽃가루, 동물의 털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해롭지 않은 물질들을 무척 위험한 물질로 착각하여 이를 제거하려고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 인데요.

환절기에는 꽃가루가 공기중 어디에나 떠다니고 있으며, 우리 몸에 들어온다고 해도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해롭지 않습니다. 그런데 일부 사람들은 꽃가루에 노출되면 면역시스템이 과도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꽃가루를 공격하는데요.

그 결과 꽃가루가 들어온 코 점막이 부어오르고 재채기가 나오며 콧물이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이 눈에서 발생하면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생기고, 폐 속 기관지에서 발생하면 천식이 되는 것 입니다.

꽃가루알레르기의 주된 원인은 오리나무, 삼나무, 자작나무, 국화, 돼지풀 등인데요. 특히 5월에 많이 발생하며 날씨에도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대기 중 꽃가루가 많아질수록 증상이 악화됩니다. 꽃가루 알레르기는 건조하고 따뜻한 오전시간에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증상

꽃가루는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을 일으키며 천식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봄철에는 천식환자 수가 늘어나곤 합니다.

꽃가루 알레르기 비염 증상으로는 맑은 콧물이 흐르고 재채기가 계속 나타나며 코가 막히는 것 등이 있는데요. 코막힘과 콧물이 심해서 두통을 일으키기도 하고 코끝이 가려운 증상도 발생합니다.

꽃가루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일으키기도 하는데요. 눈 가려움증과 충혈, 눈통증, 가려움증, 이물감 등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눈곱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기관지천식 악화로 인해 호흡곤란, 기침, 숨 쉴 때 마다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꽃가루 알레르기를 감기로 오해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데요. 계절적으로 환절기마다 반복하여 감기에 걸린다면 꽃가루알레르기를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대처법 (약 치료)

알레르기 치료의 원칙은 원인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피하는 것 인데요. 사실상 야외에 날리고 있는 꽃가루를 완전 피하기란 불가능합니다.

외출 시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꽃가루를 걸러낼 수 있도록 모자나 안경을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외출 후 집에 오면 바로 세수와 양치질을 해서 꽃가루를 제거하도록 합니다. 또한 꽃가루는 오전중에 더 심하게 나타나므로 오전 환기나 오전 야외활동은 가급적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면 이를 완화해 주는 약물인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항히스타민제 복용으로 상태가 잘 나아지지 않으면 코에 뿌리는 비강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할 수 있고, 알레르기 결막염이 심하면 안약을 써야 합니다.

증상이 나타났을 때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상태가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비염이 지속되어 축농증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수면의 질이 떨어져서 만성피로가 나타나게 되빈다. 비염환자의 일부는 천식으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꽃가루알레르기는 주로 계절성으로 반복해 나타나므로 알레르기약을 미리 복용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증상이 나타나기 전 미리 항히스타민제를 꾸준히 복용해주면 알레르기 증상이 심하지 않게 환절기를 지날 수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 복용 후에는 졸리고 나른한 부작용이 생기기 쉬운데요. 성분에 따라 졸음 부작용이 덜한 항히스타민제도 있으니 상황에 따라 알맞은 약제를 선택하도록 합니다.

​​[출처] 생활건강과약이야기 https;//blog.naver.com/sns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