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리온정 성분 효능 복용법 부작용

투리온정 성분 효능 복용법 부작용

 

투리온정 성분 효능 복용법 부작용

투리온정은 항히스타민제 계열에 속하는 약물입니다.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처방이 있어야만 사용 가능한데요, 주 성분은 베포타스틴이며 알레르기 비염이나 만성 두드러기 등에 사용합니다.

베포타스틴 성분 제제는 먹는약 형태인 정제 뿐 아니라 안약(점안액)도 있는데요. 점안액은 알레르기성 결막염으로 인한 가려움증 완화에 사용합니다.

투리온정

성분 : 베포타스틴

베포타스틴은 히스타민 수용체를 억제하여 히스타민 작용을 차단하는 작용을 합니다. 히스타민은 외부 자극에 의해 분비되는 물질인데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각종 원인물질 (꽃가루 동물의 털 등등)에 노출되면 면역계 세포에서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히스타민이 유리됩니다.

히스타민은 알레르기 반응 및 염증반응 등에 관여하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히스타민이 유리될 경우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투과성이 높아져서 콧물이 심해지고 코점막 혈관이 부어올라 코막힘 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피부에도 작용하여 피부 가려움증을 유발하며 두드러기를 일으키기도 하는데요. 피부 두드러기 역시 히스타민 방출로 인해 피부나 점막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면서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일시적으로 혈장성분이 조직에 쌓여 피부가 부어 오르고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것 인데요.

항히스타민제 계열에 속하는 약물들은 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히스타민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에 각종 알레르기 증상을 줄여줍니다.

항히스타민제는 크게 1세대와 2세대로 나뉩니다. 1세대 약물은 약효 지속시간이 짧아서 하루에 3회 복용해야 하는 반면, 진정작용은 오래 지속되어 졸리고 나른한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에 비해 2세대 항히스타민제 약물은 약효 지속시간이 늘어났으며 혈액-뇌장벽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졸음, 진정 등의 부작용이 덜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베포타스틴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에 속하며 약효 발현 시간이 수분 이내로 빠르기 때문에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1시간 정도로 2세대 항히스타민제 성분들 중에서 가장 빠른 효과를 나타내는데요, 약효 지속시간 역시 약 16시간 정도로 긴편에 속합니다.

효능, 효과 / 용량, 용법

베포타스틴 먹는약(정제)은 다년성 알레르기 비염 증상에 사용합니다. 비염 뿐만 아니라 피부 알레르기 증상에도 사용하는데요. 만성 두드러기, 피부질환에 수반된 소양증(습진.피부염, 피부소양증, 양진) 등에 효능,효과가 있습니다.

베포타스틴 제제들(투리온, 타리온, 베포스타 등)은 모두 전문의약품이므로 처방 시 지시받은 용량, 용법을 지켜 복용하면 되는데요. 보통 성인 기준 1일 2회 1정씩 (10mg) 복용합니다.

부작용

베포타스틴 성분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에 속하지만 여전히 졸음, 진정 등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약 복용 후에는 운전이나 집중이 필요한 기계조작을 할 때에는 조심해야 합니다.

베포타스틴은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약물이므로 신기능이 저하된 경우나 고령자의 경우 혈중 약물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졸음이나 권태감, 두중감, 두통 및 현기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소화기계 관련 부작용으로 입마름, 입안건조, 설염, 울렁거림, 구토, 설사, 위부불쾌감 등이 있습니다.

피부발진 등이 나타나기도 하며 간수치가 증가하거나 백혈구수의 변화 등이 나타났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흔하지 않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는 진전, 변비, 모낭염, 말초 부종, 전신부종, 홍반, 소양증, 빈뇨, 말초 냉감 등이 있습니다.

​​[출처] 생활건강과약이야기 https;//blog.naver.com/sns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