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러움약 보나링에이정 메네스에스정

어지러움약 보나링에이정 메네스에스정

어지러움약 보나링에이정 메네스에스정

어지러움은 누구나 한번쯤 경험해 보았을 정도로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보통 빙빙 도는 느낌, 한쪽으로 쓰러질 듯한 느낌, 머리가 어질한 기분 등으로 표현되는데요. 본인 혹은 주변 물건들이 모두 정지해 있음에도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 모든 증상들을 통칭해 나타냅니다.

어지러움은 원인에 따라서 크게 중추성말초성으로 나뉩니다. 먼저 중추성은 주로 뇌에 문제가 생겨 발생하는 어지러움인데요. 뇌졸중이나 척추동맥박리 등으로 인해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말초성 전정기관의 문제 때문입니다. 몸의 균형을 유지해주는 달팽이관 (반고리관)과 전정신경에 문제가 생겨 어지럼을 느끼게 되는 것 인데요.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내이염 등 귀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어지럼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 외에도 기립성저혈압, 심리적인 원인 등이 원인이 되어 실신성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는데요. 어지럼과 함께 짧은 시간 동안 실신하게 되지만 대부분 저절로 회복됩니다.

치료

 

어지럼증이 나타난 경우에는 일단 편안한 자세를 취하며 안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눈을 감은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있어야 증상이 완화되는데요, 대부분 어지럼증은 환자가 움직일수록 심해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어지럼증이 혹시라도 뇌졸중 초기증상으로 나타난 것은 아닌지 면밀히 살펴야 하는데요. 어지러움과 함께 한쪽 몸의 마비가 나타나거나 언어장애 등이 동반된다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뇌의 문제가 아닌 말초성 어지럼증의 경우 어지럼을 유발한 원인 및 증상에 따른 치료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예를 들어 가장 흔한 어지럼의 원인인 이석증의 경우 반고리관 속의 이석을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어지러움약

어지러움을 진정시켜주는 약물으로는 항히스타민제가 주로 사용되는데요. 먼저 디멘히드리네이트 성분의 보나링에이정이 있습니다.

보나링에이정

주 성분은 디멘히드리네이트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지럼증, 구역, 구토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약물입니다.

항히스타민제 성분은 중추를 진정시켜주는 작용을 하는데요, 과도하게 자극되어 있는 귀의 전정기관을 억제해서 어지럼증이나 울렁거림, 구토증상 들을 줄여줍니다.

히스타민 성분은 콧물, 피부 두드러기 등의 알레르기성 반응에도 관여하지만 어지러움증, 구토, 멀미 등을 유발하기도 하는데요.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들 증상 완화에 효과를 나타내어 줍니다.

보나링에이정은 멀미, 메니에르증후군으로 인한 구역, 구토, 어지러움에 사용될 뿐 아니라 수술 후 나타나는 구역, 구토 증상 완화에도 사용하는데요.

디멘히드리네이트 단일제는 주로 어지러움약으로 사용되고, 복합제는 (비타민 B6, 카페인 등과 함께 들어감) 멀미약으로 사용합니다.

약 복용 후에는 졸리고 나른함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운전 등은 조심해야 합니다. 또한 입마름,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전립선비대증 환자 및 녹내장환자는 투여 금기 의약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메네스에스정

메네스에스정은 어지러움 중에서도 메니에르병으로 인한 어지럼 및 이명, 청력소실에 사용하는 약물입니다. 주 성분은 베타히스틴으로 히스타민 H1수용체와 H3 수용체에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내어 줍니다.

H1 수용체를 활성화 시켜서 달팽이관의 혈류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H3 수용체는 억제시켜서 귀로 들어오는 감각정보들을 줄여주는 작용을 하는데요.

1일 3회 식사 도중 혹은 식후 복용하는 약물이며, 복용 후 설사나 식욕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심계항진이나 두드러기, 흥분감 등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와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 약효가 감소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출처] 생활건강과약이야기 https;//blog.naver.com/sns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