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호흡 증상, 과호흡증후군, 호흡곤란 대처

과호흡 증상, 과호흡증후군, 호흡곤란 대처

과호흡 증상, 과호흡증후군, 호흡곤란 대처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갑자기 숨이 가빠지고 호흡곤란증상을 겪는 장면이 종종 등장합니다. 어지럼증과 함께 의식을 잃고 쓰러지기도 하는데요.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과호흡증후군 증상이기 때문에 응급처치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몸은 호흡과정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내뱉습니다. 산소가 부족하면 정상적인 생명활동을 유지할 수 없지만, 혈액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너무 낮아져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동맥을 흐르는 혈액 중에는 이산화탄소가 37~43mmHg 범위로 유지되고 있는데요. 호흡이 과도해져서 이산화탄소배출이 너무 많이 이뤄지면 어지러움, 손발저림, 시력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

폐렴, 천식 등과 같은 호흡기계 질환 등 신체적인 부분이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정신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폐질환(폐렴, 폐혈관질환), 심장질환 (심부전 등), 대사성산증 등이 원인이 되거나 일부 약물 사용의 부작용 (소염진통제, 테오필린 등) 때문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임신중에도 프로게스테론 호르몬 증가로 인해 호흡욕구 증가가 나타나 발생할 수 있는데요.

발열이나 통증도 원인이 될 수 있어 평소 건강하던 사람도 통증이 발생할 때 갑자기 과호흡증후군에 빠지기도 합니다.

신체적으로 별 문제가 없는데도 정신적인 요소가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정신적인 과도한 스트레스, 불안 등이 문제가 될 때에는 가슴두근거림, 두통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신적인 불안, 스트레스, 흥분 등이 원인이 되어 과호흡증후군을 한번 겪게 되면 이 경험이 다시 불안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과호흡증상이 악화되거나 더 자주 나타날 수 있는데요. 또다시 과호흡증후군을 겪을까봐 두려워서 사람이 많은 곳에 갈 때마다 긴장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지기 쉽습니다.

증상, 치료

단시간 안에 갑자기 호흡이 빨라지고 호흡량이 과도하게 늘어나는데요. 이 때 혈중 이산화탄소가 부족해지며 몸이 과도하게 알칼리화 되고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합니다.

그 결과 손발의 경련, 감각이상, 근력약화 등이 발생하는데요. 혈액이 점점 알칼리화 되는 알칼리증 때문에 심장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부정맥이 나타나거나 심장혈관이 수축해 가슴통증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뇌혈관이 수축되어 어지럽고 앞이 잘 안보이게 되며 심한 경우 경련, 실신으로 이어집니다.

이런 증상들은 일시적이기 때문에 평소 특정 질환이 있던게 아니라면 건강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천식, 폐질환과 같이 특정 질병이 원인이라면 병을 치료하면 낫게 됩니다. 원인이 정신적인 문제라면 호흡훈련 프로그램 등을 통해 과호흡증상이 심각한 질병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 만으로도 상태가 많이 호전됩니다. 간혹 계속 재발하며 난치성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정신과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응급처치

영화를 보면 종이봉투 등을 입과 코에 대고 숨을 쉬는 페이퍼백 응급처치방법이 많이 나옵니다. 환자 자신이 내뱉은 이산화탄소를 다시 들여마셔서 부족한 이산화탄소 수치를 높이는 방법인데요.

전문가들은 이 방법은 그다지 추천하지 않는데요, 오히려 저산소증을 일으켜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전한 응급처치 방법은 마음속으로 숫자를 세며 쉼호흡을 의도적으로 느리게 만드는 것 인데요. 환자 혼자서는 힘들 수 있으니 주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면서 같이 숫자를 세며 천천히 호흡하는 걸 반복하면 되는데요. 천천히 숨을 들이 마신 뒤 잠시 숨을 멈추었다가 천천히 내쉬는 것을 몇 분 정도 반복합니다. 응급처치로 일단 증상이 진정되었다 해도 바로 병원을 찾아 제대로 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재발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재발징후가 발생하면 스스로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고 최대한 심리적으로 안정을 취하돠록 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규칙적인 운동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는 과호흡을 유발할 수 있으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생활건강과약이야기 blog.naver.com/sns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