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장염 초기 증상 (급성 만성)

맹장염 초기 증상 (급성 만성)

​맹장염 초기 증상 (급성 만성)

맹장염은 맹장 끝 부위에 위치한 충수돌기에 염증이 생긴 질환입니다. 충수돌기는 맹장 끝 부위에 약 6~9cm 정도 길이로 달려있는데요. 충수돌기의 입구가 막히면서 생기는 질환이므로 맹장염이 아닌 충수염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급성맹장염

충수염은 충수돌기 입구가 막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충수돌기 입구가 막히는 가장 흔한 원인은 충수돌기 주변부 임파조직의 과다증식인데요, 주로 10대~20대 연령대에 많이 발생합니다. 이는 해당 연령대에 충수 내 임파조직의 양이 가장 많이 증가하기 때문에 임파조직이 과형성되어 충수돌기 입구를 막을 확률도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도 딱딱한 분변이 충수돌기쪽으로 흘러들어가 입구를 막기도 하며 머리카락이나 사과씨앗 등 이물질이 들어가서 충수염이 생기기도 합니다.

증상

 

주된 증상은 복통입니다. 맹장염 초기증상으로 속 메슥거림, 구토, 식욕부진 등 소화기증상이 발생하는데요. 이후 점차 명치와 상복부 부근에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상복부 통증은 배꼽 주변부를 거쳐 맹장이 위치한 오른쪽 아랫배 통증으로 진행되는데요. 이때 미열이나 오한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급성충수염은 염증으로 시작하는데요. 초기에는 충수돌기 안쪽에만 고름이 쌓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충수돌기 벽이 썩어서 괴사하고 구멍이 생깁니다.

즉, 응급 수술로 충수돌기를 제거하지 않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충수돌기가 괴사하고 천공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를 흔히 맹장이 터졌다고도 하며, 천공이 나타나면 복막염으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복막염은 뱃속에 고름이 퍼진 상태이며 패혈증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충수염 증상이 시작된 지 24시간 이내에는 천공 위험이 20% 정도이지만, 48시간 이내에는 환자의 약 70%정도가 천공이 됩니다.

맹장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맹장염 의심증상이 나타났다면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아 응급수술을 받는 것이 중요한데요. 조기에 수술을 받으면 대부분 별다른 후유증 없이 회복됩니다.

맹장염 증상은 사람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명치 부근 통증이나 우측 하복부 통증, 오른쪽 옆구리 통증 등이 나타났다면 충수염을 의심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충수염 통증은 오른쪽 하복부를 눌렀을 때(압통), 눌렀던 손을 떼었을 때 (반사통) 심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만성맹장염

만성 충수염은 충수돌기가 막혀 염증이 생겼다 나았다를 반복하는 상태입니다. 만성맹장염은 급성충수염과는 달리 명확한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충수돌기가 부분적으로 일시적으로 막혀서 발생하는 질환인데요.

급성충수염과 같이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우하복부 부근에 참을수 있을 정도의 통증이 반복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충수돌기가 일시적으로 막혀 염증이 생기면 통증이 나타났다가 다시 뚫리면 통증이 사라지게 됩니다.

경미하고 가벼운 복통이 수주 이상 반복된다면 만성맹장염을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우하복부 통증, 식욕부진, 미열, 구토 등의 전형적인 맹장염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보니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열도 없으며 혈액검사 상 백혈구수치도 정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요. 초음파 검사를 받아보면 만성맹장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성충수염은 급성충수염과는 달리 반드시 응급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닌데요. 꼭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가급적 수술을 받아 제거하는 편이 낫습니다.

[출처] 생활건강과약이야기 https;//blog.naver.com/sns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