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 혈뇨 원인 증상

 

하지만 혈뇨로 인해 소변에 적혈구가 섞여 있다 하더라도 그 양이 많지 않을 경우 정상적인 소변색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현미경을 통해 관찰해야만 적혈구가 보이는 것을 미세혈뇨, 현미경적혈뇨라고 하는데요.

소변색이 정상이라 할지라도 혈뇨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검사를 받아 정확한 혈뇨 여부를 확인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대로 혈뇨가 아님에도 소변색이 변할 수 있는데요. 블랙베리 등의 붉은색 음식을 많이 섭취한 경우에도 소변색이 달라질 수 있고 일부 약물도 (예-리팜핀 등) 소변색을 붉게 만들 수 있습니다.

혈뇨 원인

혈뇨는 과격한 운동이나 음식 섭취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반면 요로계의 이상 및 손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는데요. 혈뇨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에는 사구체신염, 요로결석, 요로감염, 종양 등이 있습니다.

먼저 신장에서 혈액을 걸러 소변을 만드는 사구체에 문제가 생겼을 때 혈뇨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사구체에서는 정상적으로 소변이 만들어졌으나 소변이 요로를 타고 내려오는 과정에서 피가 섞이기도 합니다.

신장의 문제인 경우 사구체신염이나 각종 감염, 종양(신장암), 외상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신장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단백뇨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관의 문제인 경우에는 요로결석이 주된 원인이 되며 감염이나 염증 종양, 외상 등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와파린, 아스피린 등과 같이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할 경우에도 출혈경향이 높아져 혈뇨가 나올 수 있습니다.

운동을 과격하게 했을 때에도 근육 파괴로 인해 혈뇨가 나타날 수 있고 감염이나 외상에 의해서도 일시적인 혈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혈뇨증상은 혈뇨가 발생한 원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육안으로 구분되지 않는 현미경적 혈뇨는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기 전까지 모르고 지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육안으로 구분되는 혈뇨라면 밝은 적색 및 선홍색이나 갈색의 소변색이 관찰됩니다. 만일 혈뇨 색이 밝은 붉은색이라면 방광 혹은 하부요로질환이 원인일 가능성이 많으며, 어두운 갈색의 혈뇨라면 상부 요로쪽에 문제가 생겼을 확률이 높습니다.

요로감염으로 인한 혈뇨라면 빈뇨, 배뇨통, 아랫배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되곤 합니다. 감염으로 인해 발열, 오한, 오심, 구토 등 전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소변에서 심하게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배뇨 시 통증이 나타났다면 방광의 문제일 수 있고, 신장에 문제가 생긴 것이라면 옆구리 부근 통증이 발생합니다. 남성의 경우 전립선감염 및 질환이 원인이라면 천골 부근 통증과 함께 빈뇨, 야간뇨 등 배뇨 이상 증상이 함께 나타납니다.

치료

혈뇨는 우선 정확한 원인을 알아내는 것이 우선인데요. 각종 검사를 받더라도 약 10%정도에서는 명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감염이 원인이라면 항생제치료를 진행하며 종양이나 암은 수술적 제거를 먼저 시행할 수 있습니다. 자각증상 없이 발생한 현미경적 혈뇨의 경우 별다른 치료 없이 정기적인 검사로 경과를 관찰하기도 하는데요.

혈뇨의 원인은 굉장히 다양한데요. 일상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경증 혈뇨뿐만 아니라 비뇨기계 암 등 심각한 질환이 원인인 경우도 있는 만큼 일단 병원에서 원인을 찾는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생활건강과약이야기 https;//blog.naver.com/snswg

소변 피 검출

소변 혈뇨

소변검사 단백뇨

소변검사 혈뇨

소변검사시 혈뇨

소변에서혈뇨가 나오는 이유

소변줄 혈뇨

소변혈뇨 결석

소변혈뇨 신장

소변혈뇨 요로

소변혈뇨 전립선염

소변혈뇨 현미경

어린이 소변 혈뇨

혈뇨 소변후 아랫배 통증

혈뇨 소변후 요도끝 통증